중환자실은 심각할 질환으로 생명이 위독한 환자들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중요한 장기들의 손상을 최소하기 위해 집중 치료가 시행되는 곳입니다.
기본 간호 업무는 물론 기도 유지 간호, 인공호흡기 간호, 혈역학적 모니터링 간호, 심폐소생술 등을 능숙하게 제공합니다.
부서 | 병상수 | 격리실 |
---|---|---|
내과계 중환자실 | 23 | 3 |
외과계 중환자실 | 20 | 2 |
순환기계 중환자실 | 5 | 0 |
외상 중환자실 | 20 | 4 |
내과계 중환자실 |
호흡기내과: 폐렴, 천식, 급성 호흡부전, 폐쇄성 폐부전 등 신장내과: 급·만성 신장 질환 등 소화기 내과: 위장질환, 간, 담 질환 등 혈액종양 내과: 혈액암, 빈혈 등 감염내과: 패혈증, 감염성 질환, 법정 전염병 질환 등 내분비 내과 ; 당뇨, 갑상선, 뇌하수체 질환 등 류마티스내과 신경계질환: 뇌졸중, 간질, 뇌막염, 뇌수막염 등 |
---|---|
외과계 중환자실 |
신경외과: 뇌수술, 척추수술 등 흉부외과: 심장수술, 폐수술 등 일반외과: 위, 간, 담도, 대장 수술 등 정형외과 산부인과/소아과 장기이식 수술: 간이식, 폐 이식, 신장이식 |
순환기계 중환자실 |
심장내과 : 심장 혈관 질환, 고혈압, 부정맥 등 |
외상 중환자실 |
외상 신경외과: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 수술, 척추수술 등 외상 흉부외과: 외상으로 인한 심장수술, 폐 수술, 식도 등 외상 일반외과: 외상으로 인한 위, 간, 담도, 대장, 소장, 비장 수술 등 외상 정형외과 외상으로 인한 기타 외과 |
환자마다 개인 모니터를 통해 혈압, 심전도, 산소 포화도, 호흡수, 중심 정맥압, 폐 동맥압 등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환자 침상과 중앙에서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변화 시 즉각 대처합니다.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 기능이 유지되지 않거나 호흡부전을 치료하기 위해 인공호흡기를 제공하고 전문적인 흡인 간호와 합병증 예방 간호를 제공합니다.
체외막 산화 장치(ECMO), 대동맥 내 풍선펌프(IABP), 일산화질소 흡입 치료(NO GAS),
심박 조율기(Pace Maker) 등의 특수 중재 시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 합니다.
지속적 혈액투석기(CRRT) 및 복막투석(CAPD)과 혈액투석(HD)등의 중재시 전문 간호를
제공합니다.
심장소생술 후 혼수상태나, 뇌손상 후 뇌부종 환자에게 저체온 요법을 시행 시 전문
간호를 제공합니다.
간, 신장, 폐 이식 환자의 수술 전,후 회복을 위해 전문 간호를 제공합니다.
환자의 수술 전, 후 회복을 위해 전문 간호를 제공합니다.
감염예방 및 교차 감염을 위해 철저한 손 위생 실시 및 격리 지침 준수와 환경 관리를 시행합니다.
침상 안정중인 환자에게 구강간호, 세발간호, 회음부 간호, 부분 목욕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청결을 유지합니다.
모든 환자에게 1-2시간 마다 체위 변경과 등 마사지 및 공기침대 제공으로 욕창예방 활동을 하고 특히, 욕창 발생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를 미리 선별하고 관리하여 욕창 발생률 감소시키며 발생 시 전문적인 치료법을 적용하려 빠른 치유를 돕습니다.
환자의 특성에 따른 식이를 제공하고, 구강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는 비위관 또는 위관을 통해 미음 제공으로 경장 영양을 실시합니다. 경장 영양이 어려운 경우는 혈관을 통해 영양제를 공급하는 경정맥 영양 요법을 실시합니다.
신입 간호사를 대상으로 기본 간호술 및 중환자실 관련 술기술에 근거한 오리엔테이션과 기본 교육을 실시합니다.
신규 간호사나 부서 이동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필수 교육(전문심폐소생술, 수혈, 전해질 및 수액요법, 응급약물, 의료장비 사용 및 관리, 감염관리, 안전관리, 위기환자 및 가족에 대한 간호, 혈역학적 모니터링)과 질환에 따른 이론 및 전문 간호에 관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Preceptor 교육, 경력간호사 교육, 팀 차지 교육 등을 실시합니다.
외상 중환자 간호에 필요한 외상 핵심 술기술 습득을 위한 간호 처치, 과정 시술 교육 등을 실시합니다.
고위험 의료기와 각종 의료기기 입고 시 관련 전문가가 사용법과 관리 교육을 제공합니다.